본문 바로가기

마케터 취업 필요 역량 및 전공, 취준 방법 팁

RE:ON 2025. 2. 16.

마케터 취업 필요 역량 및 전공, 취준방법
마케터 취업 필요 역량 및 전공, 취준방법

평소 광고나 홍보에 관심이 많았던 저는 퍼포먼스 마케팅에 매력을 느꼈어요. 그러다 인하우스의 마케팅팀에 합류하는 좋은 기회가 생겼고, 그때의 경험이 제가 마케터의 길을 선택하게 된 계기가 되었죠. 마케터를 꿈꾸시는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경험하고 배운 마케터 취업에 필요한 역량과 준비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마케터에게 필요한 핵심 역량

요즘 마케팅 업계에서는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어요. 제가 실무에서 느낀 바로는,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전략에 반영하는 능력이 정말 중요했습니다. Google Analytics나 PPT, 엑셀을 다루는 기술적인 능력도 필수적이에요.

다음으로는 마케터는 다양한 채널을 넘나드는 통합적인 시각이 필요하다는 점이었어요. 알림톡, 푸시 알림, SMS, 인앱 메시지 등 여러 채널의 특성을 이해하고, 각 채널에 맞는 메시지를 기획하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어야 합니다.실제로 한 캠페인을 진행하면서 채널별로 다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보며, 이 부분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았죠.

또한 요즘 마케터에게는 AI 활용 능력이 매우 중요해졌어요.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제작이나 초개인화 마케팅 실행 능력이 실무에서 큰 차이를 만들어내더라고요. 물론 저는 지금도 활용하는데에 어려움을 느끼지만, 실제로 활용해보니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2. 마케터 전공의 중요성

많은 분들이 마케터가 되기 위해 특정 전공이 필수라고 생각하시는데,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제가 만난 직장 동료 마케터들은 매우 다양한 전공 배경을 가지고 있었죠.

물론 마케팅학과, 경영학과, 광고홍보학과 같은 관련 전공이 기초 지식을 쌓는 데 도움이 되지만, 통계학과나 심리학과, 심지어 컴퓨터공학과 출신 마케터들도 많이 계세요. 중요한 것은 전공이 아니라 실무에서 필요한 역량을 얼마나 잘 갖추었는지입니다.

오히려 다양한 배경 지식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았어요.

3. 실무 경험을 쌓는 방법

마케터 취준생 시절, 가장 큰 고민은 '경험을 어떻게 쌓을까?'였어요. 제가 시도해본 방법들을 공유해드릴게요.가장 먼저 시도해볼 만한 것은 본인만의 SNS 채널 운영이에요.

처음에는 '그냥 SNS 운영이 뭐가 어렵지?'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해보니 콘텐츠 기획부터 성과 분석까지 진짜 마케팅의 A to Z를 경험할 수 있었어요.온라인 마케팅 공모전 참여도 매우 효과적이었습니다.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실제 기업의 마케팅 과제를 해결하면서 실무 감각을 키울 수 있었어요. 여기서 얻은 팀워크 경험은 면접에서도 좋은 이야깃거리가 되었죠.또한 비영리 단체나 소상공인의 마케팅을 도와주는 것도 추천드려요.

제가 경험해보니 실제 고객을 대상으로 마케팅을 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사회공헌까지 할 수 있어 일석이조였습니다.

4. 마케터 취업 준비 전략

마케팅 업계는 정말 빠르게 변화하고 있어요. 2025년에 주목해야 할 핵심 트렌드를 보면, AI를 활용한 초개인화 마케팅이 더욱 중요해질 전망입니다. 이미 여러 기업들이 AI와 머신러닝을 활용해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맞춤형 마케팅을 실행하고 있죠.

소셜 커머스와 OTT 마케팅의 영향력도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튜브, 틱톡 같은 플랫폼의 커머스 기능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수가 될 거예요. 특히 지속가능성과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고려한 마케팅 전략 수립 능력도 중요해질 것 같아요.

마케터로서의 여정은 끊임없는 학습과 도전의 연속이에요. 하지만 그만큼 매력적인 직업이라고 생각합니다. 특정 전공이나 스펙에 얽매이지 말고, 실제 마케팅 경험을 쌓으면서 자신만의 강점을 키워나가시길 추천드려요.

제가 경험한 바로는, 진정성 있는 마케팅 활동과 꾸준한 자기개발이 결국 좋은 결과로 이어졌습니다.

댓글